앱코(ABKO) 기업 개요 및 주가 흐름
- ABKO란?: 회사 개요, 주요 사업, 시가총액
- 최근 주가 동향: 1년·6개월·3개월 차트 및 등락 이유
최근 들어 앱코에서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세가 한번 있었다.
그 기간은 2025년 7월 8일 당시 다른 앱코 관련 뉴스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보통 이런 경우 거래량이 없는 호가가 빈 상태로 상승하였다가 바로 내리꽂으며 거래량이 거의 없어야 하는데
특이점을 생각해보자면 2025년 1월 이후 약 6개월 만의 거래량이 터진 상태였다는 것이다.
물론 상승세가 오래가진 않았다. 그렇다면 앱코의 주가는 어디로 흐를 것인가
2) 실적 기반 주가전망 포인트
- 2024년 실적 요약: 매출·영업이익·순이익
- 2025년 컨센서스 및 애널리스트 전망: 증권사 목표가
우선 앱코가 일반적인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 해당됐다면 실적에 따른 선제 매수가 있을 수도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앱코의 경우 중소기업이며 pc 주변기기를 다루는 회사로써 그렇다 할 상승재료가 노출되어 있는 회사는 아니다.
앱코의 실적을 들여다보면 영업이익률은 2020년 눈에띄게 성장하였으나 이후 쇼크가 왔다가 2024년에 들어서 조금씩 회복하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이게 주가를 들어 올리는 전망이 될 순 없다. 한국 주식시장 특성상 어닝서프라이즈급이 아닌 이상 실적으로 인해 개별 회사가 가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또한 현재 상법개정등의 이유로 지수 전체적으로 대형주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이 이유로 움직일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게 맞다.
3) 주가에 영향을 주는 핵심 변수
- 신제품·신사업 로드맵
- 국내외 경기 상황 및 환율 영향
- 경쟁사 대비 경쟁력 분석
앱코의 주가가 오르기 위한 근거로는 신제품과 신사업에 따른 상승이 아닌 타 회사와의 콜라보 제품 출시를 통한 매출액 증대와 함께 실적 개선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또는 특정 미디어나 어떤 곳에 노출이 되어 실적이 단기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걸 기대해 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저 7월 8일엔 도대체 누가 들어 올렸을까 일단 간단하게 한번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도록 하자
4) 기술적 분석(차트 포인트)
- 이동평균선(5·20·60일) 해석
- 지지·저항 구간 및 거래량 변화
- RSI·MACD 등 보조지표 신호
정말 간단하게 생각해 보자 세력이 정말 조막손일 경우에도 상관없이 저 구간에서 시가를 갭을 띄우고 시작했다는 것은 어쨌든 동시호가에 돈을 썼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후 어느 정도 슈팅이 나온 이후 7월 8일 앱코는 고점대비 20%를 하락해 있는 상태다. 하나 자세히 보면 갭을 띄운 구간을 메꿔감과 동시에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앱코 주가의 시나리오는 현재 한 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 바로 이거다.
7월 8일의 장대음봉을 기준으로 저 봉을 감싸는 형태의 주가흐름을 앱코가 보여주는 것이다. 무조건 저런 식으로 w로 올릴 필요도 없으며 7월 8일의 일봉만 감싸주면 된다 그러니 흔히 말해 매물대를 이식하면서 시간을 늘려 투자자들의 물량을 흡수하는 방식의 세력 운전이 보인다면 위로 간다는 의미이다. 또한 7월 8일의 주가 가격대는 생각보다 의미 있는 가격대인데 저 상승 한 번으로 2025년 1월과 2월 앱코에 물려있던 기존 투자자들 중 많은 투자자들이 이탈했을 것이라는 거다. 쉽게 말해 어느 정도의 손바뀜도 일어났다는 것.
5) 전망 요약 및 투자 전략
- 단기·중기·장기 시나리오
- 리스크 관리 포인트
- 투자 시 유의사항 및 체크리스트
현재로써는 앱코의 주가상승 원인을 찾기는 어렵다 아마 주가가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그려나간다면 세력들이 적제적소에 상승 뉴스를 내보내며 올리기 위한 물량 흡수작업일것이라고 생각된다 반대로 저 음봉을 완전히 훼손하게 된다면 그저 장난질이였다라고 판단할 수 있겠다.